박경자(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봄에는 흙도 달더라 얼마나 뜨거운 가슴이기에
그토록 고운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는가
영혼 깊숙이
겨울을
울어-- 울어--
아픈 가슴에 사랑의 불 지피더니
죽었던 겨울나무 가지마다
생명의 함성 일으켜
잠자는 내 영혼 흔들어 깨우네
한줌의 흙
수 많은 생명의 넋이 숨어 살고
너와 나의 또 하나의 목숨이더니
죽어도 다시 사는 영혼의 화신
목숨 또한 사랑이더라
흙내
내어머니의 젖무덤
사랑의 젖줄 물고
이봄 다시 태어나리
꽃으로 --
바람으로--
사랑으로 -- ( 시, 박경자 1995년 쓴 시)
세상에 흙이 없다면… 하나님께서 흙으로 사람을 빚어 만드셨다는데… 사람들은 자신이 천상에서 내려온 그 누구인 줄로 착각하고 산다. 오늘 아침에도 내 속에 쓸 글이 떠오르지 않아 까만 어둠 사이로 솔숲을 거닐었다. 비에 젖은 솔을 껴안으며… “내대신 글을 써 주렴…” “내 속 뜰엔 세상에 찌들려서… 마음 나눌 친구도… 맑은 영혼도… 사라진지 오래다.” 거칠은 솔을 껴안고 어둠속을 헤매는 나를 보고… 새들이 내게 지쳐간다. ‘일어나세요.’ 새날이 밝아오는데… 문득, 고은 시인의 시 ‘그 꽃’을 보고 싶었다.
내려 갈 때
보았네
올라 갈때
보지 못한
그 꽃
지금 막 생명을 키우는 ‘그 꽃’ ‘먼 꿈’은 과연 어디에 사는가… 까만 새벽을 깨우는 ‘그 생명’ 과연 어디에 살아 있기는 하는가…
겨울이 휩쓸고 간
나의 텅빈 마음에도
다시 봄은 오려는가…
한 여름을 눈부시게 화려한
그 꽃 무덤은 어디에 숨어 사는가
겨울을 울어 울어
그 꽃씨를 가슴에 품고 살아 온
흙내를 맡으면 내영혼도 살것 같다
흙, 태초에 사람을 흙으로 지으셨다는
그 하나님 냄새다.
사람은 세상에서 전쟁을 만들고 , 돈을 만들고, 사람 대신 인공 지능을 만들고, 그래도 살 수 없다 아우성들이다. 사랑 없는 세상에도 아무도 몰래 흙은 생명을 키운다. 하나님 냄새… 맡으려면 흙을 파고 그속에 아픈 겨울을 이기며 생명을 키운 흙냄새를 맡는 것이다.
태초에 천지 창조가 되던
흑암의
그날에
그 원천, 그생명이
그 깊은 숨이 흙속에 산다.
'버트런드 러셀' 의 행복이 당신곁을 떠난 이유…
인간은 지나치게 강한 자극을 원하는 표면적인 쾌감, 병적인 갈망으로 심신을 황폐케 한다고 지적한다. 지나친 자극은 약물과 같아서 행복과는 거리가 멀다고 말한다. 어느 날 그는 런던의 시골길을 아이와 함께 거닐다 두살 짜리 아이가 젖은 땅에 꿇어 앉아 얼굴을 땅에 묻고 알 수 없는 환호성을 터트렸다. 그때 그아이에게 충족된 생명의욕구는 매우 근원적인 것이었다. 콘크리트에 갇혀 사는 인간은 정신적으로 병들고, 초조함에 시달려 행복할 수 없다고 말한다. 흙으로 빚어진 인간은 흙을 통하지 않고는 하나님이 주신 생명의 기운을 희망을 찾을 수 없다. 겨울이 휩쓸고 간 텅빈 꽃 밭을 서성이며 흙 속에서 아프게 겨울을 사는 꽃씨들에게 봄이 머지 않아 …하나님 가슴 흙을 품고 봄을 기다려 다오… 흙내… 밤마다 나의 꿈을 키우는 은밀한 고뇌, 기쁨을 키우는 쉼터 내 영혼을 키우는 기쁨의 꽃 바다 흙 속에는 영겁의 혼들이 숨어사는 지혜의 꽃바다 까만 꽃씨에 숨겨 있는 햇빛과 바람, 구름이 숨어산다.
살아 있는 것은 아픈 것
흙 속에 묻힌 생명들이여…
''한송이 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서쪽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서정주 시인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