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일 집안을 정리하고, 쓸고 닦은 지 이틀째. 겨우 봐 줄만 하다. 퇴직 후 한국을 오가며 살다 보니, 늘 떠 있는 듯한 생활. 오면 갈 준비, 가면 올 준비를 한다. 꼬박 5년째. 여독이나 시차 적응 같은 단어는 잊고 살았다. 도착하면 바로 집안을 정리하고 치우고, 도착 하는 날 친구를 만났다. 그렇게 몸을 부려야 빨리 적응이 된다는 이유를 대지만 신통하게도 몸 상태가 아직은 나쁘지 않아 가능한 일이다.
이번엔 미국에 좀 오래 있어볼 예정이다. 주부가 부재 중인 살림살이는 그야말로 엉망진창. 곳곳에 쌓여 진 물건들. 버려야 할 것들이 쌓여 있고 빈 박스들이 장식품인양 자리를 잡고 있다. 그러다 발견한 아직 박스도 뜯지 않은 주방 기구들. 다양하다. 혼자 있던 남편이 편해보려고 사다 놓았전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일단 언박싱. 그러다 손마디가 뻐근하여 커피 한잔을 들고 내 방으로 들어왔다. 그때 눈에 띤 어수선한 책장. 이사를 와 다시 책을 정리하며 시집은 따로 모아 두었지만 수필과 소설은 뒤섞여 있었다. 분리를 해야 쉽게 볼 수 있을텐데 차일 피일 미루었다.
오늘, 이왕 정리 정돈을 시작했고, 좀 진득하게 미국에 있을 거면 예전 책들도 다시 읽어야 할 것 같다. 소설과 수필집을 분리해 꼽는다. 언제 샀더라, 언제 읽었더라, 책장을 넘겨 보기도 하고. 옛기억을 더듬는다. 책장의 첫 페이지에는 언제, 어디서 샀는지 적혀 있기도 하다. 어느날 내 기억이 희미해 지는 시간이 오더라도 그 책장을 들추어 보며, 아~ 그땐 그랬구나, 할 수 있게. 선물로 받은 책. 저자 싸인이 있는 책. 문학 강연과 피정에서 만났던 인연. 그 분들은 나를 기억 하지 못하겠지만 나는 그 시간을 기억한다. 어디서 어떻게 만났었고 그땐 무얼 열망했었는지.
소설과 수필은 거의 반반 씩이다. 한때 소설을 써 볼까 생각을 하며, 샀던 레퍼런스 비슷한 책들. 동향의 작가들. 그리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오정희 소설가의 소설집. 오정희의 단편 <동경>을 읽으며, 극적인 사건이 없이도 소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책장 정리를 하다말고 책을 다시 들추어 본다. 글에 가득 담겨 있던 노년의 쓸쓸함과 죽음의 그림자를 동경(구리거울)을 통해 비추어 내려 했던 작가. 나의 오늘과 오버랩되며 지나간다.
이어 김영하의 <여행의 이유>를 펼쳤다. ‘호텔에선 언제나 삶이 리셋되는 기분이다’라는 한마디를 건졌고, 페이지 곳곳에 밑줄이 그어져 있다. 그의 소설의 바탕이 되었던 여행. “이 책을 쓰는데 내 모든 여행의 경험이 필요 했다”는 작가. 살면서 만나는 독서는 발품이 들지 않는 여행, 일 수 있다.
책장 정리를 하다말고 마루에 털썩 주저 앉았다. 책을 넘기며 추억도 내 곁에 함께 앉았다. 다시 읽기 시작한 고전들도 한쪽에 자리 잡았다. 더 이상 종이 책을 늘리지 않기 위해 요즈음은 이북을 선호 하지만 가끔은 이렇게 책장을 넘기며 추억을 들추어 내는 행복. 이 소소한 기쁨이 오늘을 살아야 하는이유 인지도 모른다. 책장 정리를 하며 다시 찾은 추억들. 들추어보며 켜켜히 쌓인 기억은 더욱 단단해진다. 커피는 이미 식었지만 마음엔 온기가 가득하다.
<전지은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