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집단마다 면역세포 차이 밝혀내
아시아 국가에서 한국인은 ‘조절 T세포’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세포인 T세포 비율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조절 T세포가 적으면 자가면역질환 발생이 높고, T세포 자체가 적으면 면역항암제를 써도 치료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칠 가능성이 높다.
삼성서울병원은 박웅양 삼성유전체연구소장이 이끄는 ‘아시아 면역 다양성아틀라스(AIDA)’ 연구진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인 ‘셀’에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한국과 일본, 인도, 태국, 싱가포르 거주 중국인·말레이시아인·인도인 등 5개국 7개 집단 619명의 혈액 속에서 면역세포 126만여 개를 분석한 내용이다.
연구를 보면 같은 아시아 국가 내에서도 한국인은 면역세포 중 조절 T세포 비율이 가장 낮았다. 조절 T세포는 외부에서 세균 등이 침입하면 우리 몸을 보호하려 생기는 면역반응을 관장하는 세포다. 이 세포가 부족하면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발현돼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원형탈모도 그중 하나다. 모발세포를 적군으로 오인해 공격하는 면역반응을 제어하지 못해 생긴다.
한국인은 T세포 비율도 낮았으나, 면역과 관련한 다른 세포(B세포·NK세포) 등은 다른 나라와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말레이시아인은 B세포가 상대적으로 많고, 싱가포르 거주 인도인은 NK세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연구진은 “나라와 인종에 따라 질환에 대한 접근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박 소장은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 인종의 유전적 특성에 관한 핵심 정보를 밝힌 것”이라며 “아시아인의 시각에서 질병을 바라볼 기회를 얻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3년 설립한 삼성유전체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아 지금까지 관련 연구를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