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20~30대 젊은 층의 정상적인 삶을 위협하는 수준의 우울감을 느끼는‘코로나 우울’이 확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2021년 1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 건강 실태 조사’에 따르면 20∼30대 우울 위험군 비율은 각각 30.0%, 30.5%로, 60대(14.4%)보다 2배 이상 높아, 젊은 층이 코로나19로 인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주영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코로나 우울 대처법을 알아본다.
◇비난은 금물, 가족들이 공감해야
우울증은 의지가 부족하거나 나약해서 걸리는 것은 아니다. 환자를 비난하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
우울 증상이 있으면 무기력감과 의욕 저하가 동반되므로 바깥 활동을 하지 않고 집에만 있게 된다. 잠을 이루지 못해 생활이 불규칙해지거나 식욕이 떨어져 식사를 제대로 챙기지 못할 때가 많다(때로는 오히려 너무 많이 자거나 폭식을 하기도 한다).
활동 저하 및 불규칙적 생활 습관이 우울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에 악순환 고리를 끊어주는 것이 좋다. 환자의 우울 증상으로 인한 행동을 교정 치료로 호전시켜 주어야 한다.
특히 우울 증상을 잘 살펴 증상이 생기는 초기에 환자를 설득하고 빠르게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대화 시작부터 병원을 가자고 권유하는 것은 자칫 환자의 최근 행동이나 모습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언급으로 비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힘들거나 어려운 일은 없는지 물어보고 편안하게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섣불리 괜찮아질 것이라거나 잘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환자 감정에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많이 힘들겠구나”, “그런 일이 있었구나” 정도의 표현이 좋다.
◇바깥 활동 늘리면 우울증 극복에 효과
우울증은 항우울제 기반의 약물 치료와 상담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한다. 항우울제의 경우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전달 물질을 조절해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항우울제가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려면 2~4주 이상이 필요하므로 급성기 불면, 불안 조절을 위해 빠른 효과를 보이는 약제를 병행하기도 한다.
약물 치료 외에는 부정적으로 왜곡된 인지를 교정하는 인지행동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경두개자기자극술(TMS)과 같은 뇌 자극 치료를 시행해 비약물적으로 효과를 얻기도 한다.
스스로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은 바깥 활동을 늘리는 것이다. 오주영 교수는 “휴대폰 앱을 통한 활동량을 살펴봤을 때, 우울 증상이 심한 환자는 진료일 외에 일주일 내내 매일 100보도 걷지 않을 때가 많다”고 했다.
오 교수는 “반대로 활동량을 높이면 우울감이 빠르게 회복된다”며 “우울하고 무기력하다고 움직이지 않고 바깥 활동을 하지 않으면 우울증을 극복하기 더 힘들어지므로, 몸을 움직이는 야외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활동도 좁은 실내 공간에서 많이 움직이는 것보다는 넓은 공원에서 산책하기 등 혼자 할 수 있는 야외 활동을 시행함이 기분 전환에 도움 된다.
또 대면 인간관계를 많이 가질 수는 없지만, 비대면이라도 좋은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기분 전환, 예술 감상, 독서 등으로 좋은 기분을 끌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식욕이 떨어진다고 음식을 대충 먹지 말고, 균형 잡힌 식단의 음식을 잘 섭취하는 것이 우울증 극복에 많은 도움이 된다.
규칙적인 수면과 생활 습관을 유지해 일상 생활 리듬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너무 많은 정보를 접하는 것은 불안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하루에 일정한 시간을 정해두고 꼭 필요한 정보만 접하는 정도의 뉴스를 접하는 것이 좋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