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성 어지럼증·편두통·구토 증상
고령층 여성에게 발병률 높아
저염식 습관·카페인과 음주는 피해야
어느 날 갑자기 귀가 잘 들리지 않고, 발작적인 어지럼증이 20분 이상 지속된다면? 일반에게 익숙치 않은 ‘메니에르병’일 가능성이 있다.
메니에르병은 20분 이상 지속되는 발작성 어지럼증, 난청, 이명, 이충만감(귀가 먹먹한 증상) 등이 특징이다. 1800년대 중반 메니에르라는 프랑스 의사가 처음 언급해서 병명으로 정해졌다.
메니에르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귀 안쪽 내이에 내림프액이 과도하게 생성돼 흡수가 안 되는 내림프수종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밖에 편두통, 여성의 임신 및 호르몬 변화, 가족력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주증상으로는 발작성 어지럼증이 20분 이상 지속되고, 고령이라면 어지럼증 대신 순간적인 구역ㆍ구토가 발생한다. 어지러움이 갑자기 나타나 보통 ‘발작’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한쪽이나 양쪽 귀가 꽉 찬 느낌으로 시작한다. 때로는 청력 손실이나 이명이 동반된다. 발병 초기에는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난청이 저주파수대에서 시작된다. 이후 심하게 빙빙 도는 어지러움과 메스꺼움, 구토, 두통 등이 생긴다. 머리를 움직이면 어지러운 이석증과 달리 메니에르병은 갑자기 발생하고 20분에서 수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어지럽다.
남기성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환자의 75% 정도는 한쪽 귀에서만 발생하지만 나머지 25%는 양측 귀에 생긴다”며 “메니에르병이 생긴 귀는 반복적으로 어지럽고 청력이 점점 손실된다”고 했다.
메니에르병은 특히 여름처럼 습도가 높은 계절일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민희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교수팀이 국내 최초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메니에르병의 역학 연구 결과에서다(Audiology & Neurotology).
김 교수는 또한 “메니에르병 유병률이 2013년에서 2017년 사이 4.3배나 증가했으며, 연간 발병률도 같은 기간 동안 4배 늘어났다”고 했다. 그는 “특히 20대에서는 10만명당 40명에서 발병하는 것에 비해 60대에서는 129명이나 발병,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급증했고, 여성이 남성보다 2.1배 더 많이 발병했다”고 했다.
메니에르병 치료는 내림프액 양을 줄여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다. 청력 소실이 동반되면 스테로이드 제제가 도움될 수 있다. 저염식이요법과 약물로 80~90% 정도는 증상이 잘 조절된다.
이들 치료법으로 효과가 없으면 중이(中耳)에 직접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어 간단하고 효과도 좋지만 청력이 더 나빠질 수도 있기에 신중히 시도해야 한다. 드물지만 항생제를 주입했는데도 계속 어지러우면 내이 기능을 없애는 수술을 할 수 있다.
내림프액의 당분과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내림프액이 많아지면서 압력이 상승해 급성 발작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환자는 반드시 저염식을 해야 한다.
카페인이 포함된 음식도 피하고 운동이나 열로 인해 수분 손실이 생기면 곧바로 보충해야 한다. 술은 내림프액 양과 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에 삼가야 한다. 또한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은 내이로 가는 혈액 순환을 방해해 증상이 나빠지므로 금연해야 한다.
강우석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저염식(하루 1g 미만) 같은 식이요법과 술, 담배, 커피, 스트레스, 과로 등을 피하고 충분한 수면으로 육체적 피로, 불면 등을 피하는 것이 도움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