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은 젊은 사람들보다 통증에 훨씬 예민하다. 한 개인의 복잡하고 주관적인 불쾌한 느낌이다 보니 그렇다. 통증은 혈당이나 혈압처럼 정략적 측정이 어렵다.
통증은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 노인들은 주로 만성 통증에 시달린다. 70세 이상 노인 중 85% 정도가 만성통증으로 지속적인 고통을 받는다고 한다.
노인들에게 가장 흔한 것은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통증이다. 열에 여덟은 뼈와 관절 질환의 통증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성 통증도 문제가 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당뇨병의 합병증인 말초신경질환에 의한 것이다. 대상포진 후 신경 통증도 흔하게 관찰된다. 특히 암 덩어리나 밀려나온 허리 디스크 추간판이 신경을 누르면 물리적인 압박으로 통증이 생길 수도 있다. 암은 만성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이다.
노인들의 우울증은 그 자체로 통증을 일으키기도 하고 우울증이 통증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
노인들은 통증을 노화의 과정으로 치부해 무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만성 통증은 노인들의 일상생활 유지와 기능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나아가 우울과 절망감으로 발전하여 자살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
약물치료는 노인의 통증을 치료하는 가장 흔한 방법이다. 그러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약에 대한 감수성과 대사 능력, 그리고 신장의 기능이 달라지므로 약의 안정성과 부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흔히 사용되나 장기간 사용할 때 효과가 떨어지고 간기능과 신장기능을 악화시킬 수가 있다.
통증을 동반한 노인들에게 특히 강조해야 할 것이 일상적인 신체활동이다. 적절한 운동, 이완요법, 물리치료, 그리고 인지행동치료와 같은 비약물치료를 노인에게 맞춤형으로 적용하면 큰 도움이 된다. 통증은 감추지 말고 노인들이 내놓고 도움을 받아야 할 가장 중요한 증상이다.
기선완<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