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엘리트 학원
첫광고
이규 레스토랑

[나의 의견] 위증, 그 오래된 어둠의 쓴 뿌리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3-04-07 18:09:06

나의 의견, 신응남 변호사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신응남(변호사)

법원 공판 중 법정 진술 전에 증인은 필히 선서를 하도록 되어있다. “당신은 오늘 법정에서의 진술이 모두 사실이며 진실만을 말할 것을 맹세합니까?” 법원 및 관공서는 공증된 서류를 제출토록 규정하고 있다. 공증 서류의 사인 부분에는 “기재된 내용이 모두 사실이며 허위 사실이 밝혀질 경우 위증에 대한 처벌을 받을 것을 서약한다”란 문구가 들어간다. 이런 선서와 공증제도는 언제부터 유래된 것일까? 법의 기원인 ‘함무라비 법전’을 통하여 찾아보고자 한다.

BC 18세기 고대 바빌론왕국의 6대왕 함무라비는 이전부터 내려오던 법을 집대성한 282조항의 함무라비 법전(BC 1754)을 제정 공표하며 후대의 왕들에게 이 법을 바꾸거나 폐기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법전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동해보복의 원칙을 기초로 도시국가를 다스리는데 필요한 전 분야 즉 형법, 민법, 상법, 가정법을 총망라하였다. 

함무라비 법전은 시작부터 ‘위증’을 사회 전체를 흔드는 중범죄로 간주하고 사형으로 다스렸다. 또한 사유재산의 보호와 무역이 발달했던 당시의 분쟁 해결을 위해 기록 유지 및 증인의 진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메소포타미아 제국에서 그리스, 로마를 거쳐 유럽으로 이어지는 서구문명은 중요한 사건에 대한 증언은 늘 선서를 요구해왔다.

그로부터 4,000여년이 지난 21세기에 와서도 사회정의를 해치는 사건들의 주요 원인은 ‘거짓된 증언’에 기인한다. 얼마나 많은 공직 후보자가 거짓증언으로 낙마했고, 얼마나 많은 고위 공무원들이 뇌물죄로 거짓증언 하다가 처벌받았는가? 개인의 이익을 위해 난무하는 SNS 유튜버들이 가짜뉴스로 얼마나 큰 사회적 불신과 증오를 부추기며 국력을 소모시키고 있는가? 

다소 가혹하기는 하나 위증에 대한 함무라비 법을 소환하여 중벌로 다스린다면 사회는 다시 신뢰와 질서를 회복하고 국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법은 정의의 상징이지만 법 자체만으로 세상을 바꾸기는 어렵다. 모든 통치자는 법의 권위를 존중하고, 개인의 권리와 의무를 명시함으로써 사회질서를 유지해야한다.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수필] 집으로 가는 길
[수필] 집으로 가는 길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교육장에 들어서고 나서야 콧등 위에 안경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필이면 이 중요한 날에 안경을 차에다 두고 오다니. 몸은 이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는 하버드 대학교 교수이자 정치철학자인 마이클 샌델이 1980년부터 진행한 수업 내용을 토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성장기 아이를 키우고 있는 기자는 요즘 장을 보러 갈 때마다 심난하다. 외식비가 치솟아 끼니의 대부분을 직접 해 먹고 있는 탓에, 장 보는 일은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자,

[화요 칼럼] 행복의 조건
[화요 칼럼] 행복의 조건

『행복의 조건』 의 저자 조지 베일런트(George Eman Vaillant)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연구자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했고 성인 발달 연구소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메디케어 파트 D 의 보조금 (Extra Help)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메디케어 파트 D 의 보조금 (Extra Help)

최선호 보험전문인 세상은 공평한가? 아니면 불공평할까? 결론은 대개 불공평한 세상으로 결론이 나는 것 같다. 유토피아와 같은 이상향에서는 공평성이 제대로 발휘되겠지만, 현실 사회에

[애틀랜타 칼럼] 바르게 보는 법을 배우자

이용희 목사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눈으로 보고 느끼는 것은 항상 마음의 판단이 있게 마련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자신이 보는 것을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

[내 마음의 시] 아름다운 산책길
[내 마음의 시] 아름다운 산책길

써니 권(애틀란타 문학회 회원) 새벽에공원산책하면아침 이슬 영롱한 아름다움모든 생물들 깊은 잠에서깨어나 기지개 활짝 펴네. 오늘은토끼풀이 나를 반기네혹시 네잎 클로버 찾을까그러나

[법률칼럼] 법의 그림자 속 숨겨진 이야기3화

케빈 김 법무사  창고의 진실과 법의 판결“진실은 깊은 곳에 숨겨져 있다. 법은 그것을 밝혀내는 열쇠다.”로펌에서 일하며 깨달은 진리다.제니와 나는 동건의 유산을 둘러싼 싸움에서

[벌레박사 칼럼] 독거미 퇴치하는 법

스파이더맨 영화를 보면 스파이더맨이 발사하는 거미줄은 악당을 무찌르거나 스파이더맨을 자유롭게 이동시켜주는 매력적인 것으로 보여진다.그러나 현실에서의 스파이더, 거미는 그렇지 않다.

[행복한 아침] 철들 무렵

김정자(시인·수필가)     우연히 오랜 친분이 있는 분들을 음식점에서 만나게 되었다. 반가움에 두 손을 잡고 어린 아이처럼 깡충대며 어쩔 줄 몰라 하다가 문득 ‘나 이제 철 들었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