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첫광고
이규 레스토랑
엘리트 학원

〈한국일보 신년 사설〉 ‘신명’과‘자부심’을 무술년 한해의 에너지로

지역뉴스 | 사설 | 2018-01-03 18:18:26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2018 무술년 새해의 첫 아침이 밝았다. 미증유의 정치적 혼란과 격변의 시기를 거쳐 또 다시 새로운 한해의 출발점에 섰다. 되돌아보면 2017년은 ‘다사다난’이라는 표현만으론 부족할 정도로 정말 많은 사건들이 일어나고 변화의 물결이 요동친 격랑의 한해였다. 한국에서는 촛불정국과 사상 첫 대통령 탄핵 사태를 거쳐 새 정부 출범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질서를 세워가기 위한 숨 가쁜 순간들이 이어졌다. 

미국에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섰다. 하지만 희망의 여정이 돼야 할 새 정부 출범 후 오히려 혼란과 갈등이 증폭되고 정치적 불안정이 커지면서 양식 있는 미국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포용과 개방의 정신은 점차 사라지고 소수의 특권층을 위한 정치가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러면서 자유와 평등 위에 세워진 자랑스럽고도 위대한 미국의 민주주의가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018년은 지난 한해의 혼란과 갈등의 극복을 통해 상생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공존의 질서가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는 한해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득권층의 올바른 현실인식과 각성이 뒤따라야 한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민들의 현명한 판단이다.  

마침 올해는 중요한 선거들이 치러진다. 11월 미국의 중간선거는 국민들이 현 정치권을 향해 자신들의 메시지를 던지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상식과 이성이 실종된 사회를 바로 잡는 가장 즉각적이면서도 강력한 수단은 국민들의 빠짐없는 정치참여밖에 없다. 한국에서 치러지는 지방선거 또한 향후 정치질서와 관련해 국민들이 자신들의 요구와 바람을 표출하는 중요한 이벤트가 될 것이다. 

그렇다고 금년 한 해 무거운 정치적 과제와 일정만이 놓여있는 것은 아니다. 올 한해는 떠올리기만 해도 저절로 신명나는 스포츠 축제들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 2월에는 평창에서 그토록 학수고대하던 전 세계인들의 대축제인 동계올림픽이 펼쳐진다. 

특히 평창올림픽은 개최국 출신인 한인이민자들의 자부심을 한껏 높여주게 될 것이다. 강원도의 작은 마을 평창이 올림픽 개최를 꿈꾸었을 때 쏟아진 것은 냉소였다. 하지만 평창은 몇 번의 좌절과 실패를 딛고 올림픽 개최를 이뤄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마침내 세계인들 앞에서 한국의 저력을 보여줄 축제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평창의 올림픽 도전과 유치, 그리고 개최의 전 과정은 우리의 이민생활을 닮아 있다. 낯선 땅에서 꾸려가야 하는 이민생활은 한층 더 많은 땀과 인내를 요구한다. 너무 힘들어 쓰러지고 싶을 때도 포기하지 않는 정신없이는 이민의 뿌리를 깊이 내리기 힘들다. 자기 확신과 인내로 달려온 평창의 여정은 그래서 우리에게 교훈과 격려가 된다. 그러니 맘껏 축하하고 맘껏 즐기자. 그리고 그런 ‘신명’과 ‘자부심’을 이민생활의 동력으로 삼아 한해를 헤쳐 나가자. 

새로운 시작은 항상 큰 설렘을 안겨준다. 무술년 한해 우리가 마주해야 할 도전이 결코 녹록치는 않겠지만 그동안 무수한 시련을 겪고 극복하며 쌓은 지혜와 내공이 있는 만큼 두려워 할 것은 없다. 아무쪼록 금년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날 우리 모두가 “2018년은 정말 좋았다”며 미소로 되돌아 볼 수 있는 한해로 만들어 가길 기원한다.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행복한 아침] 봄날은 가고 있는데

김정자(시인·수필가)     봄이 깊어 가는 느낌이 물씬 난다. 날씨도 봄 기운이 질퍽하지만 나무마다 하루가 다르게 움을 틔우느라 분주하다. 움이 트고, 싹이 돋고, 꽃을 피워내다

[신앙칼럼] 가장 큰 행복(The Greatest Happiness, 창세기Genesis 18:19)

방유창 목사 혜존(몽고메리 사랑 한인교회) 프랑스의 대 문호 빅토르 위고(Victor Hugo)는 “가장 큰 행복은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자신이 누군가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

[파리드 자카리아 칼럼] 미국이 전달하는 러시아의 선전 전략
[파리드 자카리아 칼럼] 미국이 전달하는 러시아의 선전 전략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특사이자 사실상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 프로세스의 중재자인 스티브 위트코프는 최근 인터뷰에서 러시아 정부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 요점의 상당부분을 마치

[뉴스칼럼] ‘왕’이 되고픈 나르시시스트

미국은 영국과의 독립전쟁에서 뛰어난 통솔력과 지도력을 발휘해 전쟁을 승리로 이끈 총사령관 조지 워싱턴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사실 전쟁 중 그의 휘하 장교들은 워싱턴을 미국의

[목요 에세이] 그대, 뒷모습은 안녕하신가요
[목요 에세이] 그대, 뒷모습은 안녕하신가요

뒷모습에 관심이 간다. 얼굴보다 등에 매력을 느낀다. 불혹의 나이를 훌쩍 넘기면서부터다. ‘멀리하기엔 너무 가까운 당신’ 같지만 정작 스스로는 가 닿을 수 없는 나의 뒤, 나의 반

[삶과 생각] Thank you Mission Agape
[삶과 생각] Thank you Mission Agape

지천(支泉) 권명오(수필가 / 칼럼니스트)  할 일이 있어 아침 일찍 일어났다. Mission Agape에서 매주 토요일 Sandwich을 만드는 일인데 나는 한 달에 한 두 번

[시와 수필] 자연의 생명의 소리

박경자(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빛의 비가 내리네보이지 않는 비보이지 않는 곳에서질문과  대답이 이루어지고말하는이도 듣는이도  없네.여기 환희의 비가 내리네하늘 한복판에서  

[수필] 집으로 가는 길
[수필] 집으로 가는 길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교육장에 들어서고 나서야 콧등 위에 안경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필이면 이 중요한 날에 안경을 차에다 두고 오다니. 몸은 이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는 하버드 대학교 교수이자 정치철학자인 마이클 샌델이 1980년부터 진행한 수업 내용을 토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성장기 아이를 키우고 있는 기자는 요즘 장을 보러 갈 때마다 심난하다. 외식비가 치솟아 끼니의 대부분을 직접 해 먹고 있는 탓에, 장 보는 일은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자,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

[애틀랜타 뉴스] 2025년 4월 5일(토) #윤석열탄핵#윤석열탄핵확정#헌재탄핵선고#미국무부반응#해외언론반응#이제는화합#아틀란타한인단체동정#조지아소식
[애틀랜타 홈리뷰] 85번 도로에서 제일 가까운 55+ 새 단지! 누가 지었는데 이렇게 구조가 독특하고 예뻐!?
[애틀랜타 홈리뷰] 6000평 대지+호수+명문학군… 조용히 거래되는 진짜 부자들의 집
[애틀랜타 부동산] 조지아 땅! 축구장 45개 크기, 84에이커의 농업용 부지에서 꿈을 펼쳐보세요!
[애틀랜타 홈리뷰] 3천 스퀘어피트가 넘는 새 집, 어디 가면 50만불 초반에 살 수 있을까?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미리미리 세금 안 내는 플랜으로 준비하세요~ #노후 #저축 #연금 #IRA #Ro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