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이규 레스토랑
첫광고
엘리트 학원

'설악산 화가' 김종학, 미국 첫 전시 애틀랜타서

지역뉴스 | | 2025-03-31 15:54:10

애틀랜타 하이 뮤지엄, 설악산 화가, Painter of Seoraksan, 미국전시,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하이 뮤지엄서 4월 11일 개막

45년 화업 아우르는 대표작 70여 점 선보여

 

애틀랜타 하이 뮤지엄(High Museum of Art)은 한국의 태백산맥 최고봉인 설악산의 이름을 따 '설악산 화가'로 널리 알려진 한국의 거장 화가 김종학(1937년 신의주 출생)화가의 작품을 선보이는 첫 미국 미술관 전시회를 '김종학, 설악산 화가(Kim Chong Hak, Painter of Seoraksan)'라는 제목으로 오는11일부터 11월 2일까지 개최한다. 

김 화백의 원숙한 경력을 아우르는 7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이며, 한국 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20세기 후반 한국 미술의 한 단면을 전시할 예정이다. 

하이 뮤지엄의 랜트 서퍽(Rand Suffolk) 관장은 "김 화백은 한국에서 매우 사랑받는 예술가이지만 미국에서의 인지도는 오랫동안 지체되어 왔다"며, "지난 45년간 그의 예술적 생산물 중 최고의 사례들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그의 작품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 화백은 1937년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태어났다. 1960년대에 추상 화가로 처음 활동했던 그는, 수십 년간의 고난과 궁핍이 가져온 민족적 우울함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졌던 서구식 추상주의의 채택을 궁극적으로 거부했다. 1970년대 후반, 그는 설악산이 있는 한국 동부 강원도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는 당시 한국에서 유행했던 단색화에서 벗어나 거리낌 없이 표현적인 자신만의 스타일로 나아가며 대안적인 예술 담론을 모색했다.

이후 그는 수십 년간 산속에서 자발적인 고립 생활을 하며 자연 세계에 대한 예술적, 정서적 조율을 발전시키면서 설악산 주변 환경을 해석하는 데 삶과 작품을 바쳤다. 그곳에서 삶, 죽음, 재생의 순환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대기 조건을 동반하는 계절의 변화는 김 화백에게 끝없는 탐구와 영적 교감의 대상이 되었다. 그의 작품은 전통 동아시아 미술에서 산악 이미지의 표현력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신표현주의와 구상 회화의 다른 경향과 같은 1970년대와 1980년대 국제적인 미술 운동의 영향도 보여준다.

빌란트 패밀리(Wieland Family) 현대미술 수석 큐레이터인 마이클 룩스(Michael Rooks)는 김 화백의 작품이 지닌 힘과 감동, 그리고 한국 현대 회화에 제공하는 대안적 서사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는 점에 놀라움을 표했다. 그는 "설악산에서 김 화백은 그의 세대가 겪은 식민지배, 전쟁, 지정학적 갈등, 경제 위기라는 집단적 기억이 반영된 한국 풍경과의 육체적, 정신적, 정서적 관계를 구축했다"며, "전통과 현대성을 회화적으로 종합한 그의 작품은 단색화의 순결함, 엄격함, 그리고 특정 사회 문화적 맥락과의 거리감과 대조를 이루었다"고 덧붙였다.

동아시아 및 서양 미술사 외에도, 김 화백의 작품은 전통 한국 민속 공예품, 특히 민속 자수와 나무로 조각한 '결혼' 기러기를 수집하는 그의 열정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의 개인 소장품 중 일부가 이번 전시에 포함될 예정이다. 또한, 전시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김 화백의 드로잉과 스케치북, 최근 (닥나무 껍질로 만든) 한국 한지에 그린 식물 연구 그룹, 그리고 수상 경력에 빛나는 기린그림(Giraffe Pictures)의 정다운, 김종신 감독이 제작한 소개 영상도 선보인다.

전시는 하이 미술관 앤 콕스 챔버스 윙(Anne Cox Chambers Wing) 2층과 스카이웨이 층에서 열린다. 애틀랜타 전시가 끝난 후에는 2026년 9월 9일부터 2027년 2월 21일까지 피닉스 미술관(Phoenix Art Museum)으로 순회 전시될 예정이다.

High Museum of Art: 주소: 1280 Peachtree St NE Atlanta, GA 30309 문의전화: 404-733-4400

기사제공=High Museum of Art. 번역=주해정기자

 

김종학 (한국, 1937년 출생), 《No. 13》, 2006년,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김종학 (한국, 1937년 출생), 《No. 13》, 2006년, 캔버스에 유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행복한 아침] 봄날은 가고 있는데

김정자(시인·수필가)     봄이 깊어 가는 느낌이 물씬 난다. 날씨도 봄 기운이 질퍽하지만 나무마다 하루가 다르게 움을 틔우느라 분주하다. 움이 트고, 싹이 돋고, 꽃을 피워내다

[신앙칼럼] 가장 큰 행복(The Greatest Happiness, 창세기Genesis 18:19)

방유창 목사 혜존(몽고메리 사랑 한인교회) 프랑스의 대 문호 빅토르 위고(Victor Hugo)는 “가장 큰 행복은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자신이 누군가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

[파리드 자카리아 칼럼] 미국이 전달하는 러시아의 선전 전략
[파리드 자카리아 칼럼] 미국이 전달하는 러시아의 선전 전략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특사이자 사실상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 프로세스의 중재자인 스티브 위트코프는 최근 인터뷰에서 러시아 정부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 요점의 상당부분을 마치

[뉴스칼럼] ‘왕’이 되고픈 나르시시스트

미국은 영국과의 독립전쟁에서 뛰어난 통솔력과 지도력을 발휘해 전쟁을 승리로 이끈 총사령관 조지 워싱턴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사실 전쟁 중 그의 휘하 장교들은 워싱턴을 미국의

[목요 에세이] 그대, 뒷모습은 안녕하신가요
[목요 에세이] 그대, 뒷모습은 안녕하신가요

뒷모습에 관심이 간다. 얼굴보다 등에 매력을 느낀다. 불혹의 나이를 훌쩍 넘기면서부터다. ‘멀리하기엔 너무 가까운 당신’ 같지만 정작 스스로는 가 닿을 수 없는 나의 뒤, 나의 반

[삶과 생각] Thank you Mission Agape
[삶과 생각] Thank you Mission Agape

지천(支泉) 권명오(수필가 / 칼럼니스트)  할 일이 있어 아침 일찍 일어났다. Mission Agape에서 매주 토요일 Sandwich을 만드는 일인데 나는 한 달에 한 두 번

[시와 수필] 자연의 생명의 소리

박경자(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빛의 비가 내리네보이지 않는 비보이지 않는 곳에서질문과  대답이 이루어지고말하는이도 듣는이도  없네.여기 환희의 비가 내리네하늘 한복판에서  

[수필] 집으로 가는 길
[수필] 집으로 가는 길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교육장에 들어서고 나서야 콧등 위에 안경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필이면 이 중요한 날에 안경을 차에다 두고 오다니. 몸은 이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는 하버드 대학교 교수이자 정치철학자인 마이클 샌델이 1980년부터 진행한 수업 내용을 토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성장기 아이를 키우고 있는 기자는 요즘 장을 보러 갈 때마다 심난하다. 외식비가 치솟아 끼니의 대부분을 직접 해 먹고 있는 탓에, 장 보는 일은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자,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

[플로리다 홈리뷰] 커뮤니티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단지 밖으로 안 나가고도 일년 내내 살 수 있을 듯한 기가 막힌 새 단지!! (feat. 당근, 닭, 유기농, 브라운씨)
[애틀랜타 뉴스] 2025년 4월 5일(토) #윤석열탄핵#윤석열탄핵확정#헌재탄핵선고#미국무부반응#해외언론반응#이제는화합#아틀란타한인단체동정#조지아소식
[애틀랜타 홈리뷰] 85번 도로에서 제일 가까운 55+ 새 단지! 누가 지었는데 이렇게 구조가 독특하고 예뻐!?
[애틀랜타 홈리뷰] 6000평 대지+호수+명문학군… 조용히 거래되는 진짜 부자들의 집
[애틀랜타 부동산] 조지아 땅! 축구장 45개 크기, 84에이커의 농업용 부지에서 꿈을 펼쳐보세요!
[애틀랜타 홈리뷰] 3천 스퀘어피트가 넘는 새 집, 어디 가면 50만불 초반에 살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