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황혼 육아’ 둘러싸고 부머 vs 밀레니얼 세대 갈등
미국에서도 젊은 층과 노년층 사이에 ‘황혼 육아’를 둘러싸고 뜻밖의 세대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고 폭스뉴스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보도했다. 노년층은 그간 미뤄뒀던 여행을 다니며 노후를 즐기려 하지만, 이제 막 육아를 시작한 젊은 층은 부모 세대가 손주를 봐주지 않는 데 서운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매체에 따르면 올해 33세인 크리스트자나 힐버그가 이같은 세대 충돌의 대표적 사례다. 그는 어린 시절 부모님이 바쁠 때마다 조부모님 집에 가서 지내는 게 일상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런데 자신이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보니 이제 조부모가 된 부모님들은 정작 손주들을 돌봐주는 시간을 그만큼 내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힐버그는 “나는 어렸을 때 부모님이 바쁘시면 당연하게 할머니 댁에서 지냈다”면서 “그런데 지금은 부모님께 내 아이들을 맡기려면 몇개월 전부터 여행 계획이 있으신지 여쭤봐야 한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처럼 꼬인 것은 젊은 층인 밀레니얼 세대와 노년층인 베이비붐 세대 사이에 여러 요인이 겹쳤기 때문이다. 우선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과 비교해 눈에 띄게 임신과 출산을 미뤄왔다. 이 때문에 이제 노년층으로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는 역대 조부모 중 가장 ‘고령’에 손주들을 보게 된 세대가 됐다.
여기에다 이들 베이비붐 세대가 비교적 노후 대비를 ‘두둑하게’ 해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요인이다. 연방준비제도 조사에 따르면 지난 9월 현재 베이비붐(1946∼1964년 출생) 세대의 총자산은 78조달러에 달해 다른 세대보다 월등히 많았다.
세대별로 보면 1946년 이전 출생한 초고령 세대의 총자산은 18조7,000억달러, X세대(1965∼1980년 출생) 46조1,000억달러, 밀레니얼 세대(1981년 이후 출생) 13조3,000억달러에 그쳤다. 실제로 베이비붐 세대는 지난 5월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조사에서 다른 세대보다 더 많이 여행과 외식에 돈을 쓰는 성향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미국에서 자녀를 낳는 평균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점도 주된 요인이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집계에 따르면 1970년에는 첫 자녀를 낳는 평균 연령이 21.4세였으나 2000년에는 27.2세로 올라갔다. 실제로 밀레니얼 부부는 주로 30대나 40대에 자녀를 낳으려는 추세이며, 이 때문에 베이비붐 세대는 이전보다 더 ‘고령’인 조부모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결국 밀레니얼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가 육아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갖게 되며, 베이비붐 세대의 경험과 조언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느껴지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