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테슬라·GM·리비안 등 잇따라
미국 완성차 업계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혜택을 독점하면서 전기차 가격 인상에 속속 나서기 시작했다. 반면 보조금 없이 미국 전기차와 경쟁해야 하는 한국 자동차사들은 올라간 원자재 가격만큼도 올리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경쟁력 악화를 고민해야 할 처지가 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최근 전기차 머스탱 마하-E의 출고 가격을 모델에 따라 3,000~8,000달러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포드는 이달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의 가격 역시 최대 8,500달러 올렸다.
다른 미국 완성차 업체들도 비슷한 가격 인상에 나서는 중이다. 제너럴모터스(GM)는 올 가을 출시되는 픽업 허머 EV의 가격을 기존 대비 6~8% 올렸고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도 픽업 R1T의 일부 모델 가격을 18% 인상했다. 테슬라는 지난 1년간 모델3의 가격을 여섯 번이나 올렸다.
업계에서는 니켈·리튬 등 배터리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전기차 가격 인상은 ‘예견된 수순’이었다는 해석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미국 제조사들이 가격 인상을 주도하는 것은 IRA 법안의 영향이 상당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IRA 법안으로 보조금 혜택을 받는 미국 제조사는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찻값에 반영해도 여전히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어 가격 인상에 주저하지 않는다는 해석이다. 일례로 4만7,000달러부터 시작하는 2023년 포드 머스탱 마하-E의 경우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적용하면 가격이 3만 달러 후반까지 낮아져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차 아이오닉5의 보급형 모델과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현대차·기아는 판매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주저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 경우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세와 맞물려 회사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컨설팅 기업 앨릭스파트너스에 따르면 전기차 1대 생산에 들어가는 원자재 비용은 올해 8,255달러를 넘어서며 2년 전과 비교해 2.5배 가까이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