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고용 14만3,000명↑
실업률 4.1→4.0% 하락
“완전고용 상태 시사”
3월 금리동결 높아져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1월 들어서도 전반적으로 견조한 고용시장 여건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고용지표가 나왔다.
연방 노동부는 1월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4만3,000명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16만9,000명)에 못 미치는 증가 폭이다.
다만, 지난해 11∼12월 일자리 증가 폭이 종전보다 총 10만명 상향 조정된 점을 고려하면 1월 고용 상황은 오히려 전문가들 예상 수준보다 좋았다고도 해석될 수 있다.
노동부는 지난해 11월 일자리 증가 폭을 21만2,000명으로 종전보다 4만9,000명, 12월 일자리 증가 폭을 30만7,000명으로 종전보다 5만1,000명 각각 상향 조정했다.
실업률은 4.0%로 낮아졌고, 전문가 예상치(4.1%)도 밑돌아 강한 고용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4.0%의 실업률 수준은 연방의회 예산국(CBO)이 추산한 자연실업률(4.4%)보다 뚜렷이 낮은 수준으로, 미국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실업률 지표에 매년 1월 연례적으로 이뤄지는 인구 추산치 재평가 요인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연방 노동통계국은 가계 설문조사를 통해 실업률 지표를 추산하는데, 실업률의 모수인 경제활동인구 추산치가 연례 인구 추산치 조정으로 상향된 게 실업률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가계 설문조사상 실업자 수는 1월 685만명으로 전월(689만명) 대비 큰 변동이 없었다.
실업률 통계의 기반이 되는 가계조사는 비농업 취업자 수를 파악하는 기업조사와는 별도로 시행되며, 조사방식이나 표본의 차이로 인해 두 지표가 괴리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한편 지난 1월 미 전역을 강타한 강추위와 캘리포니아 산불 사태는 1월 전국 고용지표에 인지할 만한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고 연방 노동부는 설명했다.
금융시장은 이날 고용지표가 강한 노동시장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고용지표 발표 직후 4.5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6bp(1bp=0.01%포인트) 올랐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4.26%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5bp(0.01%포인트) 상승했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3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전날 84%에서 고용지표 발표 직후 92%로 상향 반영했다.
연방준비제도(FRB·연준)가 인플레이션 정체와 강한 경제 상황을 고려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힌 가운데 연준이 추가 금리인하에 더욱 신중해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에 힘이 실린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