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3국교역 연540억 달러
농업 타격 예상 속 긍정평가도
일부 농민 “가격 경쟁력 회복”
트럼프 발 ‘관세전쟁’이 4일부터 시작되면서 조지아 경제도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및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키로 1일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이들 3국에 대한 실제 관세 부과는 오는 4일부터 시작된다.
추가관세 부과 대상국으로 지정된 이들 세나라는 조지아의 주요 교역국들이다. 조지아는 중국으로부터 가장 많은 제품을 수입(175억 달러)하고 있고 멕시코는 137억 달러로 세번째다. 캐나다도 65억 달러로 10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반면 조지아의 주요 수출국은 캐나다(76억 달러), 멕시코(48억 달러), 중국(39억 달러) 순으로 이들 3개국과의 교역규모는 540억 달러를 넘어섰다.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와 의료관련 제품, 통신장비. 자동차 부품, 중장비 건설장비 등이며 민간 항공기. 자동차, 화학 펄프 제품이 주요 수출품목이다.
이번 조치로 자동차와 의류 전자제품 등 다양한 소비재 가격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조지아에서는 특히 농업 부분에서 큰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중국은 조지아산 면화와 땅콩, 피칸, 대두 등에 고율의 보복관세를 부과해 조지아는 농업부분에서 큰 피해를 입은 전례를 갖고 있다.
하지만 일부 농민들은 트럼프의 관세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고 주류 언론들이 전했다.
AJC는 “조지아 농민들은 연방정부가 계절직 이민 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 지급을 의무화해 멕시코산 농산물과의 경쟁에서 불리한 입장에 있었다”는 농민들의 말은 전했다.
자료에 따르면 이민 노동자들에게 지급해야 할 최저임금은 지난 3년간 31%나 증가했다.
주 상원 농업∙소비자 위원회 러스 굿맨 (공화)위원장은 “관세가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것”으로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스캇 홀콤(민주) 주하원의원은 “조지아 전역에서 경제적 고통이 가중되고 곧 경제활동 둔화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며 트럼프의 관세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이필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