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숲 비율 급격 하락
인구 및 난개발 증가 원인
ATL시 조례개정안에 주목
애틀랜타 시의회 표결을 앞두고 있는 나무조례 개정안이 시뿐만 아니라 메트로 애틀랜타 전역으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애틀랜타 시의회는 지난 수년동안 논의와 협의 과정을 거쳐 마련된 나무조례 개정안 표결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개정안 최종안에 어떤 내용을 포함시킬 지 여부와 그것이 충분한 나무 보호책이 될 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애틀랜타시의 현행 나무에 관한 조례는 2001년 처음으로 제정된 뒤 몇 차례 개정을 거쳐 2022년 마지막으로 수정됐다.
하지만 전면적인 개정은 환경보호단체와 개발단체 간의 이견으로 번번이 무산됐다.
그 사이 숲의 도시라는 명성을 얻은 애틀랜타의 숲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방 센서스 등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애틀랜타시의 인구는 9만4,000여명이 증가했고 이를 메트로 애틀랜타 전역으로 확대하면 그 규모는 더욱 커진다.
인구가 증가하면서 애틀랜타 지역 숲 면적은 감소했다.
2018년 조지아텍 조사에 따르면 당시 애틀랜타에서 숲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은 46.5%로 2008년 48%보다 1.5%포인트 줄었다. 환경보호단체들은 현재 이 비율은 45% 이하로 떨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보호단체를 중심으로 시의회에 대한 관련 조례 개정 요구가 커져 왔다.
현행 조례에 의하면 개발업자는 최고 몇천달러의 수수료만 지불하면 일정 지역 내 나무를 제거할 수 있다. 사전 승인이 필요하지만 비용만 지불하면 승인이 거부되는 사례는 거의 없다.
환경보호단체는 이 수수료가 묘목을 심고 관리하는 비용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충분한 나무관리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상할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개발부지 조성을 위해 허용되는 토지 훼손 범위를 제한하고 특정 수목의 보호를 의무화하는 수목보호기준 신설 방안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애틀랜타시의 새로운 나무보호 조례 개정안이 환경보호단체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을 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다만 애틀랜타시의 이번 조례안이 같은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나머지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 시금석이 될 것으로 다수의 지역 언론들은 내다보고 있다.<이필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