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대형기관들 이견
주식·채권 투자 비중을 6대 4로 구성한 전형적인 포트폴리오의 지난해 수익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오면서, 이 방식의 유효성을 두고 월가 대형 금융기관 사이에 의견이 갈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1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투자업계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식·채권 간 투자 비중을 6대 4로 두고 공격적으로 접근할 경우 주식 비중을, 신중하게 접근할 경우 채권 비중을 늘리는 방식을 써왔다. 경제가 안 좋을 때 주가가 하락하는 반면 채권 가격은 오르는 경향 등 일정부분 보완적인 성격이 장점으로 꼽혀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증시 하락장에서 채권시장이 기대와 다르게 움직이면서 주식과 채권 시장 모두 수익률이 급락했다.
대형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지난해에는 어떠한 전략을 쓰든 큰 손실이 불가피했으며 이 방식이 여전히 기본적 접근법으로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골드만삭스 자산운용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샤민 모사바르-라마니는 주식·채권에서 모두 손실을 기록한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고 미래에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이는 드물다”고 평가했다.1926년 이후 미국 금융시장에서 주식·채권 모두 12개월 기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시기는 2%에 불과한 만큼, 투자자로서는 지난해 저조한 수익률에 가슴이 아프겠지만 포트폴리오를 급격하게 바꾸려면 추가적인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지난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대응해 일반 국채 대신 물가연동채권 비중을 늘렸더라도 손실 정도가 비슷했으며, 유가와 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도 지난해 변동성이 컸던 만큼 매수 후 보유하는 전략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WSJ은 평가했다.
반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지난해 이러한 포트폴리오의 명목 수익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2009년 이후, 실질 수익률은 대공황 이후 최저였던 만큼 이제는 시대에 뒤지는 방식이 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블랙록의 포트폴리오 리서치 부문장 비벡 폴은 “이제는 다른 체제”라면서 해당 포트폴리오가 유효하던 시기는 끝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