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0.25%p로 교통정리 “기존 계획 따라 긴축 진행”
2일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전날 지수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미 하원 증언에 힘입어 일제히 상승했다.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은 격화하고 있고 러시아 외무장관은 3차 대전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러시아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이의 무력 충돌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지만 시장은 파월 의장의 발언에 더 환호했다.
이날 파월 의장은 연방 하원 청문회에서 “3월에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지지할 의향이 있다”고 못 박았다.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앞서 사실상 이달 금리인상 폭을 결정했다.
이날 파월 의장의 하원 증언에서 알아야 할 7가지는 ①“3월에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지지할 의향이 있다”→3월 금리인상폭 확정 ②“인플레이션이 꺾이지 않으면 0.25%p 이상 올릴 수도 있다”→0.5%p 인상 가능성 제시 ③“우크라 사태로 매우 불확실. 게임체인저 될 수도” ④“지금으로서는 기존 계획 따라 조심하면서 긴축(금리인상 등) 진행” ⑤“3월 회의서 대차대조표 축소 합의 진행, 단 최종 결정은 안 내려. 다음 회의 때 합의” ⑥“중립금리 2~2.5%로 추정” ⑦“앞으로 나오는 데이터와 경제전망 변화에 따라 빠르게 대처할 것” 등이다.
이날 파월 의장은 3월 FOMC 회의가 어떻게 진행될 것 같냐는 질문에 “나는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지지할 의향이 있다”고 못 박았다. 파월 의장이 3월 FOMC의 금리인상 폭을 얘기한 것은 처음이다. 최근에도 그가 FOMC를 앞두고 구체적인 숫자를 짚어 얘기한 적이 없었다. 월가의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최근에는 보지 못했던 것”이라며 “과거에 이런 사례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연준 의장이 구체적 숫자를 얘기하는 것 자체가 특이하긴 하다”고 전했다.
연준 수장이 3월 0.25%포인트를 얘기했으니 천재지변이 일어나지 않는 한 이렇게 간다고 보면 된다. 파월 의장은 또 인플레이션이 꺾이지 않으면 0.25%p 이상을 올릴 수도 있다고 문을 열어 놓았다.
한 마디로 우크라 사태에도 3월 금리는 0.25%p를 올리고 대차대조표 축소도 곧 시작하는데 그 다음 회의는 상황을 보자는 말이다. 대차대조표의 경우 3월 회의 때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그 다음에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는 식으로 얘기했다
이는 인플레 탓이다. 파월 의장도 “너무 높다”고 할 정도다. 이날 회의에서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CPI)가 전년 대비 8%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는 의원도 있었다.
물론 파월 의장은 이날 우크라이나 사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상당한 우려를 드러냈다. 의회 증언 모두 발언도 간단한 인사 뒤에 바로 “시작하기 전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말씀드리겠다. 이것이 미국 경제에 미칠 함의는 매우 불확실(highly uncertain)하며 이를 매우 유심히 모니터링하겠다”고 했다.
실제로 얼마나 우크라이나 사태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느냐를 떠나 증언 제일 앞에 이를 거론하면 실제로 연준이 많이 신경을 쓰고 있다는 인상을 주게 된다. 파월 의장도 높은 불확실성이라는 단어를 여러 번 썼다. 기본적으로 긴축으로의 길을 제시하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우려를 걸쳐 놓는 것이다.
파월 의장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가 미국 경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는 했는데 유가 상승과 글로벌 경제 침체에 따른 간접적 영향이 클 수 있고 이는 아직 가늠하기 쉽지 않다는 뜻으로 보면 된다. 실제 파월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미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지만 이번 갈등은 ‘게임 체인저’이며 당국자들이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인지 “신중하게 하겠다”는 언급을 수차례 했다. 시장 입장에서는 파월이 예상대로 3월에 0.25%포인트만 올리겠다고 정리를 해준 데다가 신중하게 하겠다는 말을 들으니 좋을 수밖에 없었다. 블룸버그통신은 “파월 의장이 신중하게 경기부양책을 제거하기로 하고 미국 경제가 금리인상을 견딜 수 있다는 식으로 말하면서 증시가 반등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다만, 기존의 긴축으로의 흐름이 바뀌었다고 보면 안 된다. 앞서 파월이 얘기했듯 3월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시작으로 일련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대차대조표 축소를 기반에 두면서 우크라이나 상황 진전에 따라 조정이 있다고 보는 게 맞다. 다만 상황에 따라 방향을 바꿀 구멍을 하나 만들어 두는 것이다. 이날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이 다음 번 경기침체는 연준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연준이 인플레 대응에 한참 뒤쳐져 있다”며 “시장이 전망하는 것보다 더 긴축을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경기침체를 피하는 연착륙을 언제나 어려웠다”며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인 상황에서는 훨씬 더 그렇다”고 짚었다.
서머스 전 장관은 “고압경제에 대한 연준의 집착이 너무 지나쳤다”고도 했다. 고압경제란 경제가 장기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재정지출과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동시에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16년 당시 연준 의장이던 재닛 옐런 현 재무장관이 들고 나왔다. 이제 그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말이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