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 미국 경제 어디로 가고 있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에 미국 경제에 드리운 불확실성의 그림자가 더 짙어지고 있다. 오미크론 감염으로 직장에 나가지 못하는 임금 노동자들이 폭증하면서 인력난이 발생하고 노동력 부족으로 생필품 생산 부족과 물류 병목 현상으로 공급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가격 상승에 따른 물가 인상과 함께 서민들의 실질 수입 감소로 소비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미국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는 형국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4일 오미크론 변이가 위세를 떨치면서 미국 경제에 직간접으로 미치는 악영향이 심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미국 경제가 오미크론의 영향권에 들어 있다는 현실이 극명하게 드러난 사례가 지난 24일 뉴욕 증시의 초반 급락 사태다. 다우 지수가 초반 한때 1,000포인트 이상 급락했지만 결국 반등에 성공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정책과 우크라이나 지역의 군사적 긴장 고조가 표면적 이유로 꼽혔지만 증시 급락 기조에는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자리잡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인력·공급난에 물가인상 악순환
미국 경제의 악순환은 오미크론 확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직장에 나가지 못하는 임금 노동자가 크게 늘고 있다. 연방 인구조사국이 2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9일부터 올해 1월10일까지 2주 동안 자신이 코로나19에 감염되거나 감염된 가족을 돌보느라 직장에 출근하지 못한 임금 노동자가 870만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전체 임금 노동자의 6%에 해당하는 수치로 2020년 중반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대치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노동력 부족 사태는 전 산업군에 영향을 미치며 인력난이란 ‘골칫거리’로 나타나고 있다. 인력난이 심해지자 식당과 소매업체들은 직원 부족으로 인해 영업 시간을 단축하는가 하면 브로드웨이 뮤지컬 공연이 줄줄이 취소되고 항공 승무원들이 자가 격리로 항공기 결항 사태가 무더기로 빚어졌다.
인력난은 생산 능력의 저하로 이어져 오미크론 변이 탓에 미국 내 그로서리 마켓에서 식료품 부족 현상이 재현되고 있다. 소고기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5%, 돼지 고기는 9%, 닭고기는 4% 하락했다. 오미크론에 따른 일손 부족으로 공장 가동율이 떨어지고 물류에도 트럭 운전사 부족으로 운송에 차질을 빚으면서 공급난이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물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해 고물가 최근 40년 만에 최고치를 찍을 정도로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다.
임금 인상률에 비해 물가 인상률이 크게 앞서면서 임금 노동자들의 실질 임금이 줄어들어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것도 오미크론의 여파다. 지난해 12월 소매업계의 판매가 1.9% 하락했다.
■엇갈리는 전망에 연준에 쏠리는 시선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한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해법 역시 엇갈리고 있다. 21일 프린스턴대 벤드하임센터 주최로 열린 온라인 토론에서 래리 서머스 전 장관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교수는 상충되는 해법을 내놓았다. 인플레이션을 놓고 서머스 전 장관은 인플레이션이 오래 갈 것이란 의견을 내놓은 반면 크루그먼 교수는 일시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해법으로 서머스 전 장관은 올해 연준이 최대 7번의 금리 인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크루그먼 교수는 인상하되 인상 폭과 시기에 신중해야 한다는 신중론으로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연준의 고민도 더 깊어질 전망이다. 기준 금리의 인상 명분은 충분하지만 자칫 경기 둔화로 이어질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준이 올해 최소 3번의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급등하는 물가를 따라잡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남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