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희 목사
사람들은 직면하는 문제와 싸워 이길 때마다 성장을 합니다. 그것은 그 사람의 지혜와 경험과 도덕과 판단능력이며 용기입니다. 역사적으로 성공했던 인물들은 대부분 커다란 장애에 직면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리하여 그 혼란스런 결정의 과정을 용기있게 헤쳐나간 사람들만이 최후에 성공의 면류관을 썼던 것입니다. 당신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지배하면서 어떤 태도를 결정해야 할 순간이 있을 것입니다. 이 때 주변의 변화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관찰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자신의 운명을 개척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직면하는 문제는 대개 개인적인 문제, 경제, 감정. 도덕적, 정신적, 육체적인 문제와 같은 일반적인 부분과 사업상의 문제, 직업상의 문제같은 전문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가장 큰 핵심은 적극적인 사고 방식입니다. 자신에게 다가오는 믿음을 확인시켜 주기 위해서라도 사람들은 스스로의 힘을 극대화 시키려고 노력합니다.
만일 당신이 신이 있다고 믿는다면 그 신은 당신의 힘을 배가시켜 주는 존재가 될 것입니다. 또 당신의 부모님의 격려를 신뢰한다면 당신은 좀더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남북전쟁 당시 링컨은 그의 친구가 자신의 정적을 맹렬히 비난하는 말을 듣고 이렇게 말하며 말렸다고 합니다. “당신은 나보다도 더 많은 개인적인 감정을 갖고 있는 것 같구먼 어쩌면 내가 개인적인 감정이 제일 없는 것 같군 하여튼 나는 그런 감정을 품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네 우리 인생의 반을 싸움으로 허비할 수 없는 노릇 아닌가? 나는 그 누구를 막론하고 과거의 일 따위를 돌이켜 생각하지 않기로 했다네.”
우리는 과거를 지나 현재를 살아가고 미래를 바라보아야 할 창조적인 존재들입니다. 헛된 과거, 그릇된 현재를 교정하여 보다 나은 내일을 엮어가는 것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입니다. 한데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 저질렀던 실패의 기억에 얽매여 자신의 정신과 육체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에게 다가온 어떤 손해를 회복 하려다가 더욱더 큰 손해를 입는 어리석음과 이어집니다. 어떤 일에 대하여 그에 합당한 대가를 치루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이상의 지출은 그만두어야 합니다. 그것은 마치 물건을 사면 돈을 지불하고 돌아서야 할 손님이 상인에게 무릎 꿇고 계속 지갑을 열어 보이는 격이나 다름 없습니다. 거기에는 “이제 그만”이라는 과감한 용기가 필요 합니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어린 시절의 잘못을 7년 동안이나 기억하고 가슴을 쳤다고 합니다. 그가 일곱 살 때 일이었습니다. 동네 장난감 가게에 있는 피리가 갖고 싶은 마음에 물건값도 물어보지 않고 호주머니에 있는 동전을 죄다 쏟아 놓고는 그 피리를 집어 들었습니다. 마구 들뜬 기분에 집으로 돌아온 프랭클린은 신나게 피리를 불면서 돌아 다녔습니다. 그런데 자초지종을 들은 그의 형과 누나들이 터무니 없이 비싸게 샀다고 놀려댔습니다. 그때 어린 프랭클린은 너무나 분해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 후 수 많은 세월이 지나 프랑스 대사가 되었을 때 어릴 때 당시 피리 사건을 다음과 같이 회고를 하였습니다.
그때 그는 피리를 산 즐거움보다는 제값을 치르지 못한 뉘우침의 교훈을 얻었다는 것입니다. “내가 나이를 먹으면서 사회 생활을 하다 보니 자신의 피리에 대하여 지나친 값을 치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불행은 물건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있습니다. 즉, 피리의 값을 과도하게 치르는 우를 범하면 바로 거기에서부터 불행이 싹트게 됩니다.”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 역시 피리의 값을 비싸게 치른 인물 중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톨스토이는 과연 어떤 인물입니까? <전쟁과 평화> <부활> <안나 카레리나>등을 쓴 작가로서 말년의 2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이며 현재까지 위대한 작가로 추앙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삶은 매우 불행하였습니다. 그것은 아내와의 불화 때문이었습니다. 톨스토이는 젊은 날 그토록 지극한 사랑을 나누었던 아내와의 불화 때문에 고통 스러운 나날을 보냈습니다. 톨스토이가 죽고 나서 그의 아내는 그가 쓴 일기를 보고서 너무 화가 나서 갈가리 찢어버렸습니다. 그 후 그는 남편을 주제로 자신의 일기를 쓰기 시작을 했습니다. 또 <누구의 잘못인가>라는 제목의 소설까지 써서 남편을 악당으로 자신을 순교자로 묘사했습니다. 이 두 사람의 진정한 두려움은 무엇이었을까요? 그것은 어쩌면 프랭클린이 갖고 싶어했던 피리와도 같은 욕망이 아니었을까요? 남들에게 가치 있는 인물로 보이기 위한 욕망, 결코 비난받지 않으려 허위, 그 때문에 그들은 가정의 불행이라는 너무나도 비싼 대가를 지불하였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