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롱비치 적체해소 법안 미셸 박 스틸 의원 발의
LA와 롱비치항의 컨테이너 처리 적체 현상이 해소되지 않은 채 여전히 심각한 수준에 놓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연방의회가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섰다.
LA 항만의 물류 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연방정부의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범 테스크포스를 구성해 대처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법안이 연방의회에서 발의돼 소관 위원회를 통과해 본회의에 상정됐다. LA와 롱비치항의 물류 적체 현상은 이제 경제 현안을 넘어 정치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모양새다.
미셸 박 스틸 연방하원의원 사무실은 스틸 의원이 발의한 2022년 해안경비수권법(The Coastguard Authorization Act of 2022, H.R.5885)이 소관 상임위원회인 연방하원 교통 및 인프라 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 하원 본회의에 상정됐다고 밝혔다.
LA항만의 물류 적체가 극심했던 지난해 11월 스틸 의원이 발의한 이 법안은 LA와 롱비치항의 물류 적체 현상 해소를 위해 연방정부의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범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법안에 따르면 태스크포스는 연방 해안경비대가 주관이 되어서 연방 환경보호청(EPA)를 비롯해 14개의 연방정부 부처 대표자에 LA항과 롱비치항의 최고 책임자를 포함해 4곳의 관계 기관장이 더해져 구성된다.
태스크포스의 활동 내역에는 LA항과 롱비치항의 컨테이너 화물선의 적체 현상을 분석해 평가하고 물류 대란에 따른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비용 손실을 평가해 대안을 마련하는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
미셸 박 스틸 의원은 “미국 수입 물량의 40%를 처리하는 LA항과 롱비치항의 컨테이너 적체 현상으로 인해 공급망 위기에 주요 요인이 됐다”며 “물류 적체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오렌지카운티 주민을 비롯해 가주민들에게 공급난에 따른 물가 상승 부담을 주고 있어, 이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법안을 발의했다”고 말했다.
물류 적체에 따른 공급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치권이 나서게 된 배경에는 LA항과 롱비치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이 지난해에 비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심각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실이 있다.
LA항의 지난 1월 한 달 간 컨테이너 처리량은 86만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로 집계됐다. 이는 병목 적체 현상이 일어났던 지난해에 비해 3.6% 늘어난 수준으로 1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하지만 LA항과 롱비치항의 물류 적체 현상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 하역 작업을 위해 해안에서 대기 중인 컨테이너 화물선이 수 십 척에 달하고 있다. 컨테이너 처리량이 늘었다고 해도 이를 운반할 트럭 운전기사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보니 컨테이너 물량이 항구를 빠져 나오는 데 지체되기 때문이다.
불안 변수도 있다. 올해 7월에는 서안항만노조(ILWU)와 단체협약 갱신을 위한 협상이 예정되어 있다. ‘항만 자동화’를 두고 노사 사이에 입장차가 커 파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자칫 파업이라도 발생하면 LA항과 롱비치항의 물류 적체 해소에 빨간불이 켜질 것으로 보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한국과 중국에서 수입되는 물량이 제때 공급되지 않으면서 한인 마켓은 물론 주류 마켓들도 공급난에 직면해 판매 물량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LA항과 롱비치항의 물류 적체 현상은 고스란히 한인을 비롯한 미국 소비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류 적체에 따른 추가 물류비 상승은 고스란히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류 대란에 정치권이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어떤 해결책을 내놓을지 이목이 집중되는 대목이다.
<남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