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동네에서 먹은 묵사발은 생각만으로도 입안에 군침이 돈다. 처음 꽃동네라는 이름을 들었을 때 수녀님들이 꽃을 많이 가꾸며 가는 동네일 것이라는 상상을 했었다. 사막의 오아시스라는 말답게 테메큘라에 드물게 나무와 꽃이 있는 아름다운 곳이다.
그 시작은 1976년 11월15일 한국의 오웅진 신부에 의해서다. 다리 밑에 걸인 18명을 보고 ‘얻어먹을 힘만 있어도 그것은 주님의 은총이다.’라며 설립을 했다. 1980년대에 한국의 충북 음성으로 옮기며 거듭거듭 발전되어 2002년에 이곳에도 120에이커를 장만해 카톨릭 피정 센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예전에 인디언들의 휴양지였고 그 후 백인들의 고급 휴양지로 RV 공원과 캠핑 장소로 산에 둘러싸여 아늑하다. 연못에 연꽃이 피어나고 예순일곱 명까지 피정을 할 수 있는 집도 있다. 일반인들도 예약하면 빌려준다니 마음과 영혼을 쉬고 싶을 때 찾으면 좋으리라. 수녀님들의 평온한 모습과 봉사자들의 넉넉함을 보며 천국을 떠 올렸다.
수녀님들과 봉사자들이 우리에게 점심을 권했다. 미안해서 괜찮다고 하니 정오 때 방문하는 사람들한테는 누구에게나 음식을 대접한단다. 식당에 들어가니 도토리 가루로 만든 묵사발이 준비되었다. 하늘을 가린 도토리나무 사이로 트레킹을 했는데 거기서 나온 도토리니, 완전 무공해 음식이다. 일일이 껍질을 까고 가루로 만드는 번거로운 단계를 거쳤을 손길이 느껴졌다.
국 그릇에 밥을 약간 담고 묵을 올렸다. 채소 썬 것과 직접 키우는 닭이 낳은 계란으로 만든 지단과 김을 올렸다. 무지개처럼 예쁜 색상의 묵밥에 부추 파 마늘 고추로 양념장을 만든 것으로 쓱쓱 비볐다. 맑은 미역국까지 먹으니 이런 별미가 또 어디에 있으랴. 감사가 넘쳤다.
이날 이후 묵사발 맛이 머리에서 떠나질 않아 묵 가루를 구해 만들어 먹었다. 문득, 실수해서 망신을 당한 날 친구가 “오늘 나 묵사발 되었어.”라고 했던말이 기억났다. 망신이나 왕따 당한 날, 싸워서 졌을 때 묵사발 되었다고 표현했다.
어원을 찾아보니 ’사정없이 밟아서 뭉개버리자’란다. AI Ask Up에 물어 보았다. 묵사발은 맛있고 기분 좋은 음식을 의미하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표현이라고도 한다. 낯선 표현이다. 이상해서 구글에서 찾아보니 ‘상대방을 뭉개 버리는’ 뜻으로 나와 있다. 혼동된다.
내가 고국을 떠난 지 오래되어 의미가 변한 표현을 모르고 있었나. 맞다 틀리다 정의가 변하고 있다. 그 기준은 무엇인가. 묵사발뿐 아니라 신생 어나 변형된 단어가 TV나 SNS에 자주 나와 당황하기도 한다. 내가 늙은 것인지 세상이 빨리 변하는 지 현기증이 날 정도다, 본국에서 사는 사람은 적응하며 살지 모르지만 이민 온 사람은 그 당시의 언어에 머물러 추억을 새기며 산다는 나름의 정의를 내린다.
이런들 저런들 어쩌리. 묵사발의 맛을 뒤늦게 알아버렸으니. 엄마가 해 주었던 김치 송송 썰어 넣은 묵무침을 나는 참기름과 김을 구어 부셔서 비빔밥처럼 숟갈로 떠먹는다. 2025년 새해가 되었으니 테메큘라 꽃동네에 방문해야겠다. 힐링이 되는 그곳에서 한해를 멋지게 살아갈 계획을 짠다는 핑계로 수녀님이 해주는 묵사발을 먹고 와야겠다.
<권조앤 오렌지 글사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