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기슭에 자리한 아파트의 작은 거실이지만 동쪽으로 큰 유리창이 나 있고 그 창으로 햇볕이 쏟아져 들어오면 한 겨울인데도 따뜻한 봄날 같다. 문득 바깥추위가 걱정돼 텃밭에 갔더니 꽃은 졌어도 오랫동안 버티던 모란과 백합꽃 줄기가 꽁꽁 얼어버렸다. 진즉 가보지 못한 게 미안했다. 겨울은 자칫 내 한 몸의 문제에만 집착해 주변에 대한 관심을 거두고 살기 쉬운 계절이다.
겨울에 텃밭이 얼었다 녹았다 하면 그 때 땅은 크게 호흡을 하는 시간이라고 한다. 늦가을에 땅 속에 심어놓은 겨울 채소들은 오히려 몸을 단단히 여미며 생명을 이어 갈 것이라고 믿는다. 그렇게 생각하면 봄에 꽃이 피고 새싹이 돋아나기 위해서는 모진 겨울이 독이 되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봄이 오면 죽은 나무를 다시 일으켜 꽃을 피우게 할 수 있을까. 대학 때 같이 연극을 하다 희곡으로 바꿔 동아 연극대상을 받은 친구가 생각난다. 그 친구의 수상작품이 ‘죽은 나무 꽃 피우기’ 였다. 내가 복직한 뒤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겠다고 했더니 고향에서 같이 살자 며 울면서 붙잡던 기억이 난다. 죽은 나무에 꽃을 피울 수 있다고 믿을 만큼 열정적이고 우정이 깊은 친구였다.
딸은 겨울에도 푸른 싹을 보고 싶다며 햇볕 가득한 방 하나를 온실로 만들어 겨울 텃밭을 이어 간다. 방안에서 아루그라, 실란트로 등의 야채와 각종 화초 그리고 레몬과 라임이 싱싱하게 자라고 있다. 겨울밤에 춥지 말라 고 밤새 전등불을 켜 놓고 지내는 마음이 보기에 사랑스럽다. 내가 속한 교회 작은 그룹의 이름이 ‘늘 푸른 사랑방’ 인데 딸네 집에 와도 ‘늘 푸른 사랑방’ 이 있다.
봄이 된들 완전히 죽은 나무를 살리는 건 사람의 영역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죽어 가는 나무를 지켜주며 꺼져가는 생명에 기운을 넣어 회복시켜주는 것은 사람의 힘으로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더구나 노벨 문학상 수상식장에서 한 강 작가도 말했지만 사람들로 하여금 전쟁과 폭력에 반대하고 사랑과 화해를 주장하는 편에 설 수 있게 한 일은 얼마나 큰 은총이며 축복인지 모른다.
이 추운 겨울밤 한국의 젊은이들이 그 일을 해내고 있다.
대통령의 폭력적인 비상계엄 선포와 내란 사태는 그동안 한국 근대사에 무심했던 청년들 특별히 젊은 여성들에게 민주주의에 대한 자각을 일으켜준 놀라운 계기가 되었다. 설사 대통령과 그 추종세력들이 혼란 상태를 장기화 하려고 획책 하더라도 젊은이들이 품은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뜨거운 열망은 결코 꺾지 못할 것이다.
박정희 정권 시절 한때 ‘재건’이란 단어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국가 재건 최고회의, 재건 국민운동본부, 재건 체조, 재건 복 심지어 재건 담배도 있었다. 군사쿠데타를 일으킨 사람이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호였지만 ‘사라지거나 부셔져 버린 것을 다시 세운다’ 는 뜻의 ‘재건’은 좋은 의미다.
뉴욕 맨해튼 남쪽에 ‘하이 라인(High Line)’ 이라는 하늘공원이 있다. 화물열차가 다니던 버려진 철길을 자연을 사랑하는 두 젊은이가 사들여 시민을 위한 아름다운 공원으로 재건했다. 30피트의 높이와 1.5마일의 길이의 철로위에 꽃과 나무를 심고 조각물과 벤치를 설치해 살벌한 겨울에도 사람들이 북적댄다.
생명을 살리고 민주주의를 회복하며 자연을 재건하려는 사람들의 노력은 오늘도 계속된다.
<김용현 평화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