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산업 부활 행정명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백악관에서 열린 에너지 관련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석탄산업 종사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로이터]](/image/fit/282502.webp)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석탄 산업 부활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환경 규제 강화와 함께 천연가스 및 재생에너지와 경쟁에서 쇠퇴해 온 석탄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생각이지만, 이미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석탄 산업이 재도약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미국 에너지 활성화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관련 행정명령 4건에 잇따라 서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에서 ▲모든 연방정부 기관에 석탄 산업에 대한 차별적 규정 폐지 ▲석탄 채굴 위한 새로운 토지 개방 ▲특정 대기오염 제한 면제 ▲새로운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허가와 자금 지원 강화 등을 지시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막대한 전력 수요를 석탄화력발전소를 추가 가동해 공급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된다.
이번 조치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과 전면으로 배치된다.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를 추진했던 바이든 전 정부는 미국 내 최대 석탄 생산지인 파우더리버 분지에서 신규 석탄 채굴을 금지하고, 2039년까지 기존 석탄화력발전소의 대대적 감축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석탄 노동자들 앞에서 연설하며 “우리는 진정한 권력 측면에서 최고였음에도 불구하고 버려졌던 석탄 산업을 되살리고 있다”며 “바이든 정부의 아름답고 깨끗한 석탄에 대한 전쟁을 완전히 끝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번 조치는 이미 쇠락해가는 유해한 산업을 되살리려는 시도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모든 화석연료 중 석탄은 대기오염에 가장 치명적이다. 석탄이 내뿜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또한 전 세계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한다. 수은과 이산화황을 포함해 심장병, 호흡기 문제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4년까지 미국의 석탄 생산량은 32%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