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H ”백신 허위정보가 확산 키워” 경고
전국적으로 홍역감염사태가 확산되면서 조지아 공중보건 당국이 백신 관련 허위정보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8일 열린 조지아 공중보건국(DPH) 관계자 회의에서 확인된 내용에 따르면 조지아에서는 현재까지 3건의 홍역확진사례가 보고됐고 모두 백신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이지만 무사히 치료돼 회복된 것으로 전해졌다.
존 커런 조지아 공중보건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점점 커지고 있는 백신 회의론에 대해서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커런 위원장은 “홍역 바이러스 매우 전염력이 강해 광범위한 예방접종만이 지역사회 집단감염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3일까지 전국 22개 주에서 총 607건의 감염 사례가 확인됐으며, 이 가운데 93%인 567건이 주요 지역의 집단 발병 사태와 관련된 것으로 분류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홍역 감염 사례 285건 중 198건(69%)이 집단 발병 사례였던 것과 비교하면 대폭 늘어난 수치다.
텍사스에서 시작된 이번 홍역 감염 사태는 현재 오클라호마와 캔사스, 뉴멕시코까지 확산되고 있다. 텍사스 보건 당국은 8일 현재 주 감염환자수가 500명을 넘어섰고 향후 1년간 홍역이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집단 발병 환자 중 97%가 백신 미접종자라는 점을 들어 ‘백신 회의론’을 전파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연방 보건복지부 장관의 책임론도 커지고 있다.
케네디 장관은 자신에 대한 비판여론을 의식해 지난 주말 “홍역 확산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MMR백신접종”이라고 발언했다. 하지만 불과 몇시간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홍역으로 숨진 아동의 가족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면서 특정 스테로이드와 항생제로 300명의 어린이를 구했다는 두 명의 의사를 “탁월한 치유자”라고 말해 여전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한편 언론들은 홍역 대응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또 다른 요인으로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공공보건예산 삭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 조지아 DPH 관계자는 “조지아도 전염병 접촉자 추적 인력 급여와 질병 사례를 기록하는 전산 시스템 운영비 등 3억 달러의 공중보건예산을 잃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DPH 대변인은 “공중보건 핵심업무는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이필립 기자>

조지아 공중보건 당국이 홍역감염 확산 사태와 관련 백신접종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사진=셔터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