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이규 레스토랑
첫광고
엘리트 학원

[뉴스칼럼] 혹한 속 대통령 취임식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5-01-21 13:11:25

뉴스칼럼,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대통령 취임식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한국에서는 대학입시 날만 되면 혹한이 닥친다는 말이 있다. 대학 합격/불합격이 인생을 좌우한다고 믿는 분위기 속에서 입시생들은 태산 같은 중압감 속에 입시 장으로 향하는데, 유독 그 날이면 기온이 급강하해서 수험생들을 더욱 힘들게 한다는 것이다. 눈보라 휘몰아치고 산천이 꽁꽁 얼어붙는 엄동설한의 계절에 그날만 유독 추울 리는 없다. 온 국민이 그날의 기온과 날씨에 유난히 예민해서 생긴 말일 것이다.

제 47대 대통령 취임식이 연방의사당 원형 홀 안에서 거행되었다. 혹한 때문에 옥외 행사는 위험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국의 대통령 취임식은 조지 워싱턴 초대 대통령의 경우 4월, 이후 3월 4일에 거행되다가 1933년 수정헌법 20조가 비준되면서 1월 20일로 취임식 날짜가 고정되었다. 아울러 제임스 먼로가 1817년 3월 화창한 날 옥외에서 취임식을 한 이래, 옥외 취임식이 전통으로 굳어졌다.

하지만 기상악화로 실내에서 취임식이 열린 적이 4번 있었다. 1821년 제임스 먼로 두 번째 취임 때와 1909년 윌리엄 태프트 취임 때는 눈보라 때문에, 1985년 로널드 레이건 두 번째 취임 때는 혹한(화씨 7도)으로, 1833년 앤드류 잭슨 두 번째 취임 때는 혹한에 눈이 쌓인데 다 잭슨의 건강문제로 실내 취임식이 거행되었다.  

워싱턴 DC에서 1월은 혹한이 일상이다. 대통령 취임식 날도 예외가 아니어서 때로 대단히 추웠던 날들이 있다. 미국 역사상 가장 추웠던 취임식 날은 1985년 레이건 두 번째 취임식 날(화씨 7도), 그 다음은 1961년 존 F. 케네디 취임식 날(화씨 22도). 그리고 이번 트럼프 두 번째 취임식 날이 화씨 26도(체감온도 16도)로 3위를 기록한다. 2009년 버락 오바마와 1977년 지미 카터 취임식 날도 화씨 28도로 상당히 추웠다.

그런 날들에 대한 집단 기억이 있고 보면 ‘대통령 취임식 날은 춥다’는 말이 나올 법도 하다. 취임식 날 추위 때문에 사망한 대통령도 있고 보면 완전히 틀린 말도 아니다.

1841년 3월 4일 취임한 제 9대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은 기록이 많다. 취임 당시 68세로 1981년 레이건 취임 이전까지 최고령 대통령이자 취임연설이 가장 길었던 대통령, 재직 중 사망한 유일한 대통령, 재임기간 단 31일로 최단기 대통령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조지 워싱턴, 토마스 제퍼슨 등과 친구였던 해리슨은 국가에 대한 사명감이 투철하고 강직했던 인물로 생각된다.

취임식 날 정오 기온이 화씨 48도(섭씨 9도)로 상당히 추운 날, 해리슨은 코트도 모자도 장갑도 거부하고 단정한 정장 차림으로 행사장에 섰다. 그리고는 자신이 직접 쓴 장문의 취임사를 장장 두 시간에 걸쳐 하고 그날 저녁 3개 취임축하 무도회에 참석했다. 그리고는 3주 후 감기증상이 생기더니 폐렴으로 발전, 4월 4일 사망했다. 당시 의료진은 취임식 날 추위를 직접적 원인으로 판단했다(현대의학은 원인이 다른 것일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번 대통령 취임식은 실내에서 열렸으니 행사 참가자들이 혹한을 피부로 느꼈을 리는 없다. 하지만 가슴으로 느낀 ‘혹한’은 어떤가.

트럼프의 취임사는, 거칠게 표현하면, 이전 정부의 실책들을 모조리 뒤엎겠다는 것이었다. 이민정책, 청정에너지 정책, 무역정책, 국제관계, 성적 소수계 포용정책 등 바이든 해리슨 정부의 정책들은 모두 잘못되었으니 다 바꿔놓겠다, 그렇게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 오늘 부로 미국의 황금기가 시작 된다 … 는 선언을 바로 곁에서 들으면서 바이든과 해리스의 가슴 속에는 어떤 칼바람이 몰아쳤을까. 트럼프 당선 후 ‘이민이라도 가야 하나’ 싶던 수많은 미국민들의 가슴 속에는 지금 어떤 불안의 삭풍이 불어 닥치고 있을까. 혹한의 계절이다.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도미니카 나이트클럽 붕괴사고 사망자 200명 넘어
도미니카 나이트클럽 붕괴사고 사망자 200명 넘어

[로이터]도미니카공화국 산토 도밍고의 제트세트 나이트클럽에서 발생한 지붕 붕괴 사고의 처참한 현장을 10일 드론으로 촬영한 모습. 지난 8일 새벽 발생한 이 사고로 이날까지 사망자

‘나이트클럽 지붕 붕괴’… 사망자 최소 113명
‘나이트클럽 지붕 붕괴’… 사망자 최소 113명

도미니카공화국 참사 지난 8일 갑자기 지붕이 붕괴되면서 최소 268명의 사상자를 낸 도미니카공화국 나이트클럽 건물의 모습. [로이터] 지난 8일 카리브해 섬나라인 도미니카공화국에서

도미니카 클럽 지붕 붕괴 “주지사 등 44명 사망”

8일 카리브해 섬나라인 도미니카공화국에서 발생한 나이트클럽 지붕 붕괴 사고로 현직 주지사를 포함해 최소 44명이 사망했다. AP·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새벽 도미니카공화국 수도

[尹파면] 외신, 헌재 탄핵 인용 결정 일제히 긴급 타전
[尹파면] 외신, 헌재 탄핵 인용 결정 일제히 긴급 타전

4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이용객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생중계를 보고 있다.(서울=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4일(한국시간)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자 주요 외신들은

“원폭 334개 위력” 미얀마 7.7 강진, 사망자 1,700여명… 1만명 넘을수도
“원폭 334개 위력” 미얀마 7.7 강진, 사망자 1,700여명… 1만명 넘을수도

[로이터] 지난 2021년 쿠데타 이후 극심한 혼란을 겪어온 미얀마에서 규모 7.7의 대지진으로 최소한 1,700여 명이 사망하는 참극이 발생했다. 지난 28일 미얀마의 만달레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트레킹… 뉴질랜드 밀포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트레킹… 뉴질랜드 밀포드

■ 뉴질랜드 밀포드 트레킹한국일보가 올해 창간 55주년 기념으로 기획한‘산티아고 순례여행’이 미주 한인들의 폭발적인 관심속에 성황을 이룬 가운데 내년 4월에 실시되는 2025년도

오픈AI 이미지 생성 모델, 스튜디오 지브리 저작권 침해 논란
오픈AI 이미지 생성 모델, 스튜디오 지브리 저작권 침해 논란

샘 올트먼 "폭발적 인기…서버 과부하" 2009년 7월 27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포뇨' 특별 상영회에서 포즈를 취한 일본의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연합 지난

미얀마서 규모 7.7 강진…건물 다수 붕괴·대규모 사상자 발생
미얀마서 규모 7.7 강진…건물 다수 붕괴·대규모 사상자 발생

다리·호텔 등 건물 여럿 무너져…만달레이 병원서만 최소 20명 사망태국 방콕도 공사 중 30층 빌딩 붕괴… 최소 43명 매몰  미얀마 중부 아웅반 호텔 붕괴[이정호 재미얀마 한인회

'계시록' · '폭싹 속았수다' 나란히 넷플릭스 비영어 1위에
'계시록' · '폭싹 속았수다' 나란히 넷플릭스 비영어 1위에

한국 영화 '계시록', 넷플릭스 비영어 영화 1위/넷플릭스 캡처 한국 영화 ‘계시록’과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나란히 넷플릭스 비(非)영어 1위 자리를 차지했다.26일 넷플릭스

교황, 5주 만에 퇴원…신도 앞에서 "모두에게 감사"
교황, 5주 만에 퇴원…신도 앞에서 "모두에게 감사"

호흡 보조장치 착용하고 바티칸 복귀…의료진 "최소 두 달 안정해야" 프란치스코 교황이 23일(현지시간) 로마 제멜리 병원에서 퇴원하기 직전 10층 발코니에서 쾌유를 바라며 모인 신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